KIM KANG YONG

Reality+Image 2010-2084, 101x101cm, Mixed media, 2020




“Reality+Image to Ideal world"


KIM KANG YONG 



김강용, 실재와 환영 사이

Kim Kang-yong, Between Reality and Image

 

주위를 벽돌로 둘러친 공간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그 벽돌들은 특별한 구도나 원근을 따질 겨를도 없이 하나둘씩 거리를 좁혀온다. 평평한 표면과 모래 본래의 색깔, 음영을 동반한 묘사가 두드러진 벽돌만이 눈앞에 아른 거른다. 바로 김강용의 작품 <Reality + Image>의 첫 느낌이다.

The feeling is like entering a space enclosed in bricks. Those bricks have gradually narrowed the distance, leaving no room for picking out any particular composition or perspective. There are merely bricks flickering before one's eyes, strikingly joined by the flatness of the surface, the natural color of sand, and shadow. This is the first sense one receives from Kim Kang-yong's "<Reality + Image>."

많고 많은 모티브 중에 하필이면 김강용은 건축 자재로나 쓰일 법한, 아무 감정도 없는 벽돌을 선택했을까. 벽돌더미가 덩그마니, 그것도 ‘반듯하게’ 혹은 ‘어지럽게’ 놓여 있을 따름이다. 그 연유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그의 작업이 출발한 1970년대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그와 동시대의 화가들은 주위 사물을 정밀하게 재현하는 데에 큰 관심을 보였다. 돌멩이, 기찻길, 소파, 담벼락, 영화포스터, 심지어 공사안내판 등에도 주목하였다. 사실 이런 테마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시도였다. 이전까지만 해도 이렇게 평범한 소재를 테마로 삼는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물성을 유난히 강조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미니멀리즘 작가들처럼 대상을 하나의 오브제로 인식했다.

Why, of all possible motifs, did Kim choose emotionless bricks, the kind you would expect to be used to make buildings? Stacks of bricks simply sit there by themselves, and in "orderly" and "jumbled" fashions at that. To find the reason, we need to go back to the 1970s, when Kim began his work. Like other contemporary painters, he was greatly interested in precise representations of surrounding objects. These artists also noted things like cobblestones, railroad tracks, sofas, wall surfaces, film posters, and even construction signboards. Those themes actually represented a historic form of experimentation at the time; before then, no one had thought to regard such ordinary items as an artistic subject. In placing particular emphasis on inanimateness, the artists shared characteristics with the minimalists, understanding the item as an objet.

 

작가는 70년대 초중반에 흰 캔버스가 펼쳐진 이젤, 그리고 석유통, 파렛트로 어수선한 실내풍경, 그리고 녹색의 잔디를 즐겨 그렸다. 때로는 판잣집 귀퉁이의 쓰레기통과 어둠을 비추는 가로등 주위에 새까맣게 모여든 하루살이와 나방을 그린 풍경도 볼 수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일상의 소재를 중심으로 했지만 김강용은 사물의 일부를 확대시키는 대신 ‘장소성’에 유의했던 것 같다. 스튜디오 안이라든가 드넓은 잔디, 그리고 골목길 등이 그러하다. 일반 풍경화와 다른 점이 있다면 풍경 자체보다 그것을 어떻게 옮겨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더 중요했던 것 같다. 잔디의 경우 평면의 텍스추어, 도시풍경의 경우 초현실적 구성, 화실풍경의 경우 그림도구의 정교한 재현이 눈에 띈다.

In the early to mid-1970s, Kim liked to stretch a white canvas out on an easel and take his kerosene can and palette to paint chaotic interior landscapes and green lawns. Occasionally, one can also see landscapes like a garbage can by the corner of a makeshift shack, or black swarms of mayflies and moths clustering around a street lamp as it lights up the darkness. Even then, Kim Kang-yong was focusing on everyday subject matter, but he appears to have paid attention to "place-ness" rather than to magnifying parts of the object. This is true for his studio interiors, broad fields of grass, and alleys. If there is a feature distinguishing his work from ordinary landscape art, it is that he appears to have placed more importance on how the landscape is to be transferred than on the landscape itself. With the fields of grass, what stands out is the surface texture; with urban landscapes, the surreal composition; and with the atelier images, the delicate rendering of the painting tools.

 

모래 작업의 전개

그러나 76년경부터 양상이 달라진다. 그의 작업에 모래가 등장하기 시작하고 그의 작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는다. 해안가에서 가져온 모래를 채로 쳐서 걸러낸 고운 입자를 마대나 아사 위에 흙손으로 모래를 바르고 두께감을 내기 위해 살짝 음영처리를 하곤 하였다. 모래인지, 그림인지 아니면 오브제 작품인지 구별하기 어려웠다. 90년대 초중반에는 모래는 아니지만 황토나 고령토를 안료로 삼은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 간략한 형상을 띤 이 작품은 동양화의 발묵 처럼 번져가는 효과를 내면서 말과 소, 나무 등 여러 이미지를 암시하였다. 그러다가 벽돌작업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1990년대 말부터인데 국제 아트페어에 진출하면서부터 그의 작품이 국제무대에서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게 된다.

Working with Sand

The situation changed around 1976 as sand began to assume a place as an important element in Kim's work. Kim takes sand from the beach and filters it through a sieve, then spreads the fine particles onto a hemp sack or cloth, adding light shading to give a sense of thicknes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tell if it is sand, a painting, or an objet d'art. In the early to mid-1990s, Kim produced works using loess or kaolin as a painting material instead of sand. With the resulting simple shapes, these works create a spreading effect reminiscent of the ink in Eastern paintings, hinting at a variety of images such as horses, cows and trees. Kim work with bricks began to assume prominence in the late 1990s, and his efforts have brought a fresh breeze to the international stage since he began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rt fairs.

Reality+Image 2202-2118, 52x112cm, Mixed media, 2022

그의 작품에서 벽돌은 다만 이미지로서만 존재한다. 벽돌인 것 같지만 사실은 환영에 불과하며, 우리는 그 환영을 보며 벽돌이라고 착각한다. 이처럼 그림은 실재와 환영 사이를 오가면서 교묘하게 경계를 무너뜨린다. 화면은 실재를 담는 그릇이라기보다 실재와 무관한 허상으로서 평면성을 확인하는 도구였다. 그 벽돌은 너무나 실재 같아서 꼭 만져보아야 할 것 같은 충동을 느끼게 한다. 작가는 어떻게 이런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냈을까.

In Kim's paintings, bricks exist only as images. They appear to be bricks, but they are in fact merely images; we see the image and mistake it for a brick. In this way, the painting skillfully dismantles boundaries as it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real and the image. Rather than being a receptacle to contain the real, the canvas is a tool for confirming the two-dimensionality of a virtual image unconnected with the real. Because the bricks seem so real, they give the viewer the impulse to touch them. How did the artist achieve this visual effect?

먼저 작가는 모래(근래에는 연마석)를 뿌리고 완전히 그것이 화면에 접착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충분히 시간이 흐른 뒤 붓을 들어 음영처리를 한다. 한 가지 색이 아니라 두 가지 색깔로 된 벽돌도 있는데 이때도 작업과정은 유사하다. 먼저 한 색의 모래를 바른 뒤 다른 색을 넣고 싶은 부분을 도려내고 그 속을 다른 색으로 채워 넣는 것이다. 그의 작업에선 음영처리가 대단히 중요하다. 음영처리가 작품의 성공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세필로 구획된 선을 따라가면서 벽돌의 틈새를 표현하고 밝은 색으로는 돌출된 부분을 채색한다. 그리고 돌출된 부분 뒤에 그림자를 넣음으로써 마치 벽돌이 튀어나오고 들어간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First, he spreads sand (or, more recently, grinding stones) on the canvas and waits for it to adhere completely. Then, after sufficient time has passed, he lifts his brush and applies shading. Some paintings have two colors of bricks instead of one, and the painting process is similar in this cases as well: after first spreading sand of one color, Kim scoops out the parts where he wants to add another color and fills them in with that color of sand. Shading is very important in his work, as it is a major factor determining whether the piece is successful. He renders the cracks in the bricks by following along lines marked with a slender brush, and he applies bright colors to the protruding portions. He then adds shadow behind the protruding portions, making it appear as though the bricks are bulging outward and falling back inward.

 

Reality+Image 2204-2100, 82x52cm, Mixed media, 2022

‘그림자’는 그의 그림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다. 작가는 벽돌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림자를 그렸다고 서슴없이 말한다. 앞에서 작업과정을 언급했듯이 그는 단색의 모래알이 박힌 평면을 마치 정지작업 하듯이 정성스럽게 조성한다. 다른 화가의 밑칠이 김강용에게 있어서는 모래 붙이기인 것이다. 그 모래알을 벽돌로 둔갑시키는 것은 순전히 그림자처리에 의해서다. 작가가 면을 나누거나 돌출되게 하거나 들어가게 하거나 뒤엉키게 하거나 산적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는 모두 그림자를 넣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벽돌의 형체를 나타내거나 그것에 표정을 주어 실재와 착각하게 만드는 비결은 그림자에 기인한 셈이다.

Shadow is another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Kim's paintings. The artist has said outright that he has painted shadows rather than bricks. As mentioned in the working process described above, he carefully shapes a surface embedded with sand grains of a single color, as though leveling the ground. Sand plastering is to Kim Kang-yong what a base coat is for other artists. It is shading alone that transforms those grains into bricks, and it is entirely through the adding of shadow that the artist generates the effects of a divided surface, of some parts projecting outward and others falling inward, of bricks appearing jumbled or stacked high. Thus, the secret behind Kim's ability to produce an illusion of reality by giving the appearance of brick forms, or by giving them expression, essentially lies in shadow.

 

우리는 그의 작품이 너무나 실제적이어서 종종 극사실화로 분류한다. 그러나 작가의 생각은 좀 다르다. “흔히들 내 작품을 극사실화로 분류하지만 내 그림 속 벽돌은 모두 일루전이다. 모두 ‘가상의 벽돌’인 것이다. 내게 벽돌은 나의 예술세계를 표현하는 대상일 뿐 벽돌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반복과 조형성이 내 작업의 화두다”고 말한다. 작가는 자신의 회화를 실재의 재현에 근거를 둔 극사실화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썩 내키지 않는 듯하다.

 Because Kim's paintings are so realistic, they have often been categorized as hyperrealism. The artist has a different idea, however. "People often categorize my work as hyperrealism, but the bricks in my paintings are all an illusion. They are all 'virtual bricks.' For me, bricks are merely the subjects that express my artistic world; the bricks themselves are not important. The theme of my work is repetition and formativity," he says. The artist is apparently disinclined to classify his own paintings, which are based in representation of the real, as hyperrealism.

 

‘반복’으로 따지자면 그를 버금갈 사람이 많지 않을 것이다. 반복을 철칙으로 삼았던 미니멀리즘 작가들처럼 그 역시 반복을 중시한다. 그의 작업은 동일한 것의 반복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한 형태를 계속 되풀이하는 식이다. 상단 좌측에서 출발한 똑같은 형태가 상단 우측에 똑같은 규격으로 나누어지며, 그 다음 줄에 있어서도 똑같은 규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런 행위가 맨 하단에 올 때까지 동일하게 진행된다. 만일 사이즈가 다르거나 줄이 틀려버리면 좌우대칭, 상하의 질서가 깨지며 전체적인 작품의 발란스가 흔들리고 만다. 이렇듯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동일형태의 증식으로 인해 화면의 긴장감이 더해지는 것이다.

As far as "repetition" is concerned, there are few who can match Kim. Just as the minimalist artists viewed repetition as an ironclad rule, he too values repetition. His work is realized through the repetition of identical objects; specifically, it is a style in which the same form is repeated over and over. The forms that appear in the upper left corner are partitioned according the same standards as those on the upper right corner, and even on the next row, the shapes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same rule. This act is repeated identically all the way to the very bottom. If the size were to differ, or if the rows were to be warped, it would break the sense of left-right symmetry and the order governing from top to bottom, disrupting the balance of the entire work. The repeated, regular multiplication of the same shape thus adds a sense of tension to the canvas.

Reality+Image 1902-2040, 117x91cm, Mixed media, 2020

물론 구성의 묘미를 살린 것도 볼 수 있다. 근래의 작품에서는 산더미처럼 쌓인 벽돌, 그 벽돌이 우수수 주저앉는 것, 마구잡이로 늘어놓은 것 등이 등장한다. 질서정연한 것이 반복의 리듬을 띤다면 엉클어진 것은 변형의 리듬을 띠고 있다. 하지만 이때에도 벽돌의 크기는 변함이 없다. 그가 중요시하는 반복의 질서만큼은 훼손시키지 않는 것이다.

Of course, one can also see aspects that make use of the subtleties of composition. Kim's recent works show heaping stacks of bricks, and the same bricks in jumbled masses on the ground or strewn about randomly. While the orderly assumes a rhythm of repetition, the jumbled assumes a rhythm of transformation. Even then, however, the size of the bricks does not change. This order of repetition is something valued by the artist, and he does not disrupt it.

 

‘오브제 회화’

최근 들어 작가는 평면을 입체구조물로 확장하는 새로운 시도에 한창이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과 탐색의 여정에 나서는 김강용 다운 면모를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작가는 벽돌 이미지를 발전시켜 밋밋한 ‘담장’에서 이제는 ‘3차원의 기둥’으로까지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이 작품은 거대한 기둥으로 둘러싸여 있는 뉴욕 맨해튼의 마천루 거리를 산책하면서 착안해낸 것이라고 한다. 그의 벽돌은 이제 기둥으로 ‘성장’하였지만 본질적으로 그러한 구조물은 평면의 연속이고 ‘가상’의 개념을 더욱 증폭시킨다는 데에는 변함이 없다. 하나의 시점에서의 환영은 네 방향에서의 환영으로 확산되는 것이다. 그렇게 실재와 환영의 관계는 더 멀어지기도, 아니 더 가까워지기도 한다.

‘Objet Paintings'

In recent years, Kim has been tackling the new challenge of expanding his surfaces into three-dimensional structures. Here, one can see something very characteristic of the artist, who does not content himself with the reality and instead sets out on a journey of new challenges and quests.

Kim has now developed his images of bricks from flat "walls" into three-dimensional "pillars." He reportedly conceived the idea for these works while walking through the skyscraper-flanked streets of Manhattan, where he was surrounded by great pillars. While the bricks may have "grown" into pillars, there has been no essential change in the way that the structures represent a continuation of the surface and further amplify the concept of "virtuality." The illusion from one point of view spreads into an illusion from four direction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image moves farther apart, or perhaps closer together.

 

어디에서나 접할 수 있는 벽돌이지만 현실에서는 어디에도 그 같은 풍경은 존재치 않으며, 다만 김강용의 그림에서만 만날 수 있다. 흔하고 사사로운 것을 이처럼 새로운 존재로 둔갑시키는 것이 바로 예술이 지닌 힘이 아닌가 싶다. 미국의 미술평론가 로버트 모간(Robert Morgan)이 김강용의 그림을 가리켜 “비범하고 다소 신비롭기까지 하다”고 높이 평가한 이유를 알만하다.

Bricks can be found everywhere, but these landscapes do not exist anywhere in reality and can only be found in the paintings of Kim Kang-yong. This may be the strength of art: transforming the ordinary and personal into a new entity. One can see why the American art critic Robert Morgan praised Kim's paintings as "remarkable and somewhat mysterious."

 서성록(안동대 미술학과 교수)

Professor Seo Seong-rok, Department of Fine Art, Andong National University


Reality+Image 2010-2119, 145x112cm, Mixed media, 2020

Reality+Image 2206-2129, 75x61cm, Mixed media, 2022

Left) Reality+Image 2205-2111, 27x27cm, Mixed media, 2022

Right) Reality+Image 2205-2106, 27x27cm, Mixed media, 2022




김강용 KIM KANG-YONG

 

1950 전북 정읍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 전공 졸업

 

개인전

2021~22 스튜디오끼, 파주

2020 성곡미술관, 서울

2019 Han collection, 런던, 영국

         Gallery LVS, 서울

2017 예술의 전당, 서울

2016 Fn갤러리, 서울

2014 갤러리 MAHA 21, 서울

2013 파이트너 리히텐펠스, 비엔나, 오스트리아

         갤러리마이클슐츠, 베이징, 중국

2012 갤러리마이클슐츠 베를린, 독일

2010 갤러리박영, 서울

2009 T아트센타, 베이징, 중국

         중국미술관, 베이징, 중국

2008 가나아트센타, 서울

2007 아트시즌스갤러리, 싱가포르

         가제갤러리, 오사카, 일본

2006 뉴호프갤러리, 뉴욕, 미국

         모노갤러리, 베이징, 중국

2005 코리아아트갤러리, 서울

2003 조현화랑, 부산

2002 박여숙화랑, 서울

2000 박여숙화랑, 서울

1999 가산화랑, 서울

1998 이목화랑, 서울

1995 추제화랑, 서울

1992 이목화랑, 서울

1988 미술회관, 서울

1986 윤갤러리, 서울

1984 대전문화원, 대전

1983 그로리치화랑, 서울

 

단체전

2023 All that Realism_한만영에서 윤위동까지 1부, 갤러리나우, 서울

2022 SPACE-가상과 실재전, 공립인제내설악미술관, 인제

         KIAF SEOUL, 코엑스, 서울

         재현과 재연展, 롯데갤러리 본점, 서울

         리얼과 이미지의 K-Artist 4인, 삼원갤러리, 서울

         집으로 가는 길 – 귀로, 정읍시립미술관, 전북 정읍시

         엄마! 가짜라서 미안해요!,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꿈의 양평- 양평미술 세계의 중심으로, 양평도립미술관, 경기

1977~2022 선화랑 45주년 기념전, 선화랑, 서울

         외 다수


주요 소장처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홍익대학교 미술관, 서울

홍익대학교 박물관, 서울

성곡 미술관, 서울

기담미술관, 제주도

박수근 미술관, 서울

서울 보건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외교 통상부, 서울

박영사, 서울

삼광 컬렉션, 서울

양평 미술관, 양평

인천 지방 검찰청, 인천

프레더릭 아이즈먼 아트 파운데이션, L.A. 미국 등

CEO : Lee Soon Shimㅣ Business License : 101-87-00172
Address : 16, Eonju-ro 152-gil, Gangnam-gu, Seoul, Korea , 06021

ㅣ CS : +82 (0)2-725-2930 ㅣ Fax : +82 (0)2-725-6999

Copyright ⓒ gallery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