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DUCK YONG

김덕용, 연결과 순환의 한국미-‘세밀가귀(細密可貴)’ 

 

“나전 솜씨가 세밀해 가히 귀하다(細密可貴)” - 송나라 서긍의 『고려도경(高麗圖經)』 중에서


세밀가귀라는 고려 나전(螺鈿)의 세련됨이 ‘완벽한 기량’과 ‘자연미감’을 덤덤히 받아들이는 삭힘의 자세를 통해 작품에 안착된다. 김덕용은 이를 “세월의 결로 새기는 한국적 아름다움”이라고 평한다. 나무의 결이 자연스러운 시간 속에서 생성되듯이, 담백하게 발현된 ‘시간성의 발효’는 고려장인의 섬세함을 타고 천년 뒤 김덕용의 오늘과 만난다.


작가는 “한결같다”는 말을 좋아한다. 흐르는 물(流水)이 과거-현재-미래의 레이어로 연결되듯, 작품은 고려 시대 최고 미감을 바탕삼아 가장 현대적인 매체로까지 확장되는 것이다. 최근 작가의 여러 작업을 혼성모방한 사례들이 적잖이 목도되지만, 김덕용의 작품을 눈여겨 본이라면 한국적 세계관과 완성도에서 모방하기 어려운 ‘최고기량과 곰삭듯 녹아든 미감의 깊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나전이 자연의 여러 문양들을 패턴화 했다면, 김덕용의 작품은 고른 표면 위에 현대적인 추상과 구상의 단면들이 정확한 배열과 단청 채색 등을 겸비하면서 조화된다. 옻을 기반한 자개-알 껍질-금박과의 조화 등까지 김덕용의 작품들은 고도의 기술과 동시대 미감이 겸비된 ‘최고기량의 조화미’라고 할 수 있다. 전혀 다른 미감 사이의 조화는 끊고 마감해 연결하는 ‘공간 프로젝트’를 통해 확장된다.


작가의 작품은 크게 순환의 결을 연결하는 ‘관계 중심’의 키워드와 무한대의 공간을 제한적 재료로 개성화한 ‘차경(借景)-time and space’ 시리즈로 나눌 수 있다. 오랜 나무판에 올려낸 인물들 또한 한국의 자연을 ‘생의 미학’으로 올려낸 구수하고 깊은 맛을 담았다. 나무판에 연결된 ‘세밀가귀의 위엄’은 자연의 조화미를 현대적 공간으로 옮겨 ‘한국적 피막을 생성하고, 자개와 나무, 재를 활용한 독특한 작품’으로까지 연결된다. 순환하는 우주를 보는 듯한 김덕용의 작품들은 “인간의 유한성에도 불구하고, 영속되게 살아가는 자연의 이치”를 담는다. 추상과 구상을 구분하기보다, 한국적인 소재와 전통 재료를 초석삼아 정신의 깊이를 좇아 ‘나의 시간과 공간이 요구하는 대로’ 따르는 방식이다. 말 그대로 작가의 작품들은 여러 은하계가 우주라는 무한대의 에너지로 연결되듯 ‘차연(差延, différance)’의 방식을 좇는다.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차연’이 해체와 지연이라는 상반적 언어의 결과값(Result Value)이라면, 김덕용의 방식은 순환하면서 개별화되는 “여러 마음의 방”을 하나의 연재처럼 연결한 더욱 넓은 차원의 종합화를 의미한다. <차경(borrowing landscape: 자연에서 빌려온 경치)> 시리즈에 등장하는 바다, 별들의 궤적을 그린 <우주(宇宙)>, 유희하듯 어우러진 <상서로운 산수> 시리즈 등은 ‘순환하면서도 연결되는 귀한 미감’을 공통적으로 보여준다. 동양화라는 전공에서 찾기 어려운 대중적 매개체를 ‘한국미의 다채로운 재해석’ 속에서 결집해온 작가는 동서고금의 미감을 종합하는 ‘최고기량의 조화미’를 실험하면서 한국미를 하나의 순환미감 속에서 실현하고 있다. 

- 안현정 (미술평론가, 예술철학박사)

 

“한국의 미는 담백, 절제, 발효, 숭고, 그리움....그리고 이 모든 것이 자연스럽게 공존하는 비빔밥같은 조화의 미학이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에서 근원의 그리움을 찿아가는 결의 순환인 것이다.” - 김덕용 인터뷰 중에서


 

The Korean Beauty of Connectivity and Circulation – ‘Exquisite and Precious Mother-of-pearl Lacquerware Pieces (細密可貴)’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is exquisite and precious (細密可貴).” From the Song dynasty book the Illustrated Account of the Embassy to Goryeo in the Xuanhe Era (Xuanhe fengshi Gaoli tujing, 宣和奉使高麗圖經), by Xu Jing (徐兢)

 

The sophistication of mother of pearl lacquerware from the Goryeo dynasty, as expressed in Xu Jing’s statement “The mother of pearl lacquerware is exquisite and precious,” permeates Kim Duck Yong’s work.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Kim’s attitude of serenely incorporating a fermented approach that comprises a refined proficiency and an aesthetic sense of nature. In Kim’s words, this is “Korean beauty inscribed upon a grain of time.” In the same way the grain of trees is naturally formed over the course of time, the delicate skills of craftsmen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ir fermented temporality, infused with simplicity, have impacted Kim Duck Yong today, after a millennium. Kim is quite fond of the word “constant.” Like flowing water streaming through the layers of past, present, and future, the prime aesthetic sense of the Goryeo dynasty on which his work is based has expanded to shape the most modern of artistic mediums. Currently, we can see not a few works that are made by mimicking Kim’s work, in combination with other elements. However, anyone who looked closely at his work will be able to discern his exceptional mastery, a quality which is difficult to imitate in terms of the Korean world view and expectations of perfection, as well as the depth of his aesthetic sense that has fermented and melded into his work. While mother of pearl lacquerware of the Goryeo dynasty features patterns inspired by nature, Kim’s work is characterized by the modern figurative and abstract images arranged in an precise manner and harmoniously painted in dancheong colors. Additionally, Kim’s work demonstrates the synchronized use of materials, from lacquerware-based mother of pearl to eggshells and gilt. These qualities can also be seen as possessing the beauty of harmony enabled by his exceptional mastery combined with outstanding skills and a contemporary aesthetic sense. This harmony of completely different aesthetic senses expands through the “space project,” which dissects, completes, and connects aesthetic elemen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im’s work consist of key words centered on relationships connecting the grain of circulation and the Borrowed Landscape (借景)-Time and Space series, in which infinite space is individualized using limited materials. The figures on the old wooden panels transmit the savory and deep taste of Korean nature to the observer, which are depicted through the aesthetics of life. The dignity of exquisite and precious mother of pearl lacquerware transfers the harmonious beauty of nature to a modern space, in addition to generating a surface made of Korean materials and Kim’s distinctive work created by using mother of pearl, wood, and wood ash. Kim’s work, which leads the viewer to feel as if they are watching a circulating universe, captures the order of nature enabling eternal life, despite the finiteness of the human experience. Therefore, rather than distinguish between abstract and figurative elements, Kim pursues spiritual depth based on Korean subject matters and materials, as called for by his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time and space. Fundamentally, Kim’s work follows a mode of différance in the way multiple galaxies are connected by the infinite energy of the universe. If Jacques Derrida’s notion of différance is the resulting value of the two opposing words—deconstruction and deferral, Kim’s method is a reference to the synthesis of a broader dimension that connects multiple rooms of the mind that are individualized while circulating like a series. The oceans in the Borrowed Landscape series, trajectories of stars depicted in Universe, and the nature harmonized as if composing a stage performance in the Auspicious Landscape series all convey a precious aesthetic sense of things that circulate and connect simultaneously. Kim has gathered together popular mediums that are hardly found in the field of oriental painting, incorporating them into his colorful reinterpretation of Korean beauty. He has experimented with the beauty of harmony generated by exceptional deftness in synthesizing the timeless aesthetic senses from both the East and West, in addition to embodying Korean beauty in one aesthetic sense of circulation.

 

“Korean beauty is the aesthetics of harmony, by which qualities such as simplicity, moderation, fermentation, sublimity, and nostalgia all coexist naturally like bibimbap. It is a circulation of grain when you go to search for the source of nostalgia within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 From an interview with Kim, Duck Yong

 

- Ahn Hyun-jeong 

(Art critic, Holder of a Ph. D in Art Philosophy)

 

 

 

[작가노트]


태초 

우리는 우주의 

한 점이런가..

 

玄의 한 점은 

모체에서 생성되어

생명으로 존재하다가

다시 빛이 되어 

한 점 제자리로 

돌아간다.

 

그 하나의 점은

심현의 공간에

영롱한 진주처럼 한톨의

씨앗으로 뿌려져

새로운 생명으로 움트고

다시 우리에게 따뜻한 감성으로 비춰 온다

 

 

점은 씨앗이고

씨앗은 생명이다

 

생명은 

형체가 변할지라도

결코 소멸되지 않고

함께한 그들의 마음에 

한 점으로

영원히 존재한다  -김덕용

 

 

 

[평론]

 

심현(深玄)을 향한 의경(意境)


언젠가 교외에 장만한 지인의 새 집에 초대받았을 때, 집주인은 하늘을 향해 뚫린 유리 천정을 자랑하며 밤마다 무수한 별들과 우주를 자신의 방으로 초대하는 행복을 만끽하고 있다고 했던 기억이 있다. 일상에서 별을 올려다 볼 기회를 잃고 사는 필자에게 그의 말은 단순한 자랑 그 이상이었다. 한옥에 살던 선인들은 외부의 풍경을 집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되도록 창을 넓게 만들기도 하고 지붕창을 만들어 실내외를 하나로 통하게 하는 자연관을 구현했다. 이러한 차경(借景)의 방식은 단순히 자연을 받아들여 즐기는 차원을 넘어 내부 공간을 소박,단순화하면서 그 공간에 거주하는 인간의 내면을 비우기 위한 사유이기도 했다.


김덕용의 작품들은 인물이나 한복,달 항아리 등 전통적 요소들이 배치된 실내를 소재로 다루면서 부분적으로 창밖의 풍경들을 병치하는 방식을 보여 왔다. 근작에서는 과거의 작품과 달리,인물들은 보이지 않고 윤슬로 반짝이는 가없는 바다와 무수한 별들이 흩어진 밤하늘의 풍경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작품에는 실재 목재를 화면에 부착하여 형상화한 마루나 기둥,창,문 그리고 가구들이 등장하는 데, 명시적이진 않지만 전통 한옥의 공간을 염두에 둔 듯 실내와 외부를 자연스럽게 하나로 연결해 내고 있다. 그의 <차경(借景)> 연작은 내부 공간과 외부공간을 한 화면에 동시에 담아냄으로써 이러한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실내 공간이 드러나 있지 않은 경우도 내부의 공간이 외부까지 확장된 느낌을 주고 있다. 이는 그가 기본적으로 가변성과 비움을 기본으로 하는 전통 건축의 공간관에 익숙함을 드러내고 있다. 근작에서는 건축적 요소의 비중이 약화되는 대신, 풍경 이미지가 강화되어 있다. 좁은 기둥들 사이로 넓게 펼쳐지는 바다나 밤하늘이 그것이다. 또 <심현(深玄)> 연작에서는 건축적 요소가 최소화되거나 배제된 채, 달 항아리와 같은 기물이나 풍경 그 자체만을 드러내고 있는데, 그의 시선과 관심이 점차 차경의 대상이 되는 외부의 요소들로 옮겨가고 있는 듯하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단골 소재인 인물이나 꽃, 한복, 자개 장롱, 전통가옥 등의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따뜻한 감성을 표출하고 있는데, 역설적이게도 이 부드러움은 그의 의식 심층에 내재되어 있는 불안과 공포, 젊은 날 아픈 기억들의 승화된 것이다. 광주 5.18의 현장에서 경험한 죽음에 대한 극심한 불안과 공포, 적응하기 힘든 낯선 환경과 빈곤, 고독과 싸워야 했던 서울에서의 대학 시절, 청춘의 아픔과 방황을 극복할 수 있게 한 힘은 어머니의 사랑과 고향의 친구들이었다 한다. 그의 작품 속 따뜻함과 부드러움은 그가 나고 자란 고향 남도의 자연과 인간들에 대한 향수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그의 근작은 이러한 향수와 그리움을 정신적, 형이상학적 차원으로 승화시켜내고 있다. 그의 <차경>이나 <심현>은 그가 추구하는 근원적인 세계,시원성에 관한 동경과 희구를 드러내고 있다. 차경의 대상이 되는 바다와 하늘(우주)은 그에게는 생명의 시원이 되며 회귀해야하는 본질적 세계인 것이다. 그는 이 세계를 바다의 심연에서 나고 자란 생명체인 자개의 단편들과 존재를 태우고 남은 재와 숯가루로 형상화 한다. 자개의 편린들로 형상화한 윤슬이나 별들의 반짝임 그리고 달(항아리)의 광채는 자연에 함축된 영겁의 흔적을 담고 있는 재료들에서 작가가 읽어낸 시원의 언어와 형상이다. 이러한 자각과 감수성을 통해 작가는 영속과 순환의 우주 안에서 하나의 작은 존재인 자신을 발견해 내고 있다.


“ 태초 우리는 우주의 한 점이련가......

한줌의 형체는 하나의 점이 되어 심현의 공간에 한 톨의 씨앗과 진주로 뿌려져

새로운 생명으로 움트고 다시 우리에게 따뜻한 감성으로 비춰온다.”(작가 노트)


그의 작업 과정은 깊은 심현에 영속과 순환을 위한 생명의 씨앗을 뿌리는 심정의 발로이다. 하지만 그의 작업은 현실을 떠난 관념의 세계를 노닐지 않고, 치밀하고 정교하면서도 지난한 장인적 공력으로 현실과 마주한다. 자개를 자르거나 빻아 가루로 만들고 나무를 태워 재를 만들어 안료와 섞어 원하는 색을 얻어낸다. 육체와 땀으로 물질에 부딪치며 그 물질에 정신과 혼을 넣어 새로운 존재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동양화론에선 이러한 작가의 주관적 정서와 객관적인 물상의 결합을 의경(意境)이라 한다. 의경은 작가의 사상이나 심미의식이 작가의 체험과 융합하여 그 정신과 기질을 드러내는 것이며, 작가의 주관적 심미의식을 작품상에 표현하는 것이다. 예술창작과정에서 의(意)의 개념은 작가가 객관 대상을 관조하고 내면에 융합시킨 주관적 평가와 아울러 예술적 사유에 의해 재창조되어 형성된 결과물이기도 하다. 또한 경(境)은 작가의 심미의식 속에 묘사되어 구체화된 풍경이나 사물을 가리키며 예술가가 객관사물에 대한 관찰과 체험을 통해 자연의 본연에 접근함을 의미한다. 즉, 단순한 객관의 묘사에 머무르는 것에서 벗어나 심미대상의 본질에 역점을 두어 그 정수를 취하는 것이다.

김덕용의 작품은 긴 여정을 통해 심현을 관조하는 단계에 이른 것 같다. 심현을 그 넓이를 측량할 수 없는 깊은 어둠의 세계로 피상적으로는 혼돈처럼 보이나 그 안에 빛과 생명을 담지하고 있는 근원적 세계라 할 때, 그는 인간이 나고 돌아갈 그 곳을 그리워하며 그 시각으로 사물과 인생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가 구사하는 이미지들은 단순히 시각적 대상으로서의 경물(景物)이라기보다는 존재의 본질에 관해 질문하는 통감각적 소산이며, 피상적으로 볼 때, 그의 화면은 사실적 묘사의 결과라기 보다는 추상성을 가진 하나의 물성적 특성을 가진다. 물론, 그 물성은 서구 모더니즘이 추구하던 사물로서의 회화적 본질을 추구하는 차원과는 다른 것이다. 물질과의 정신적 교감을 통해 얻어낸 결과물이며,몸 전체로 자연과 우주만물의 자체의 원리로 자연세계를 인식하고 해석하려는 태도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자개의 편린과 재로부터 그리고 그것을 통해 그곳에 감추어진 우주의 빛과 어둠의 언어를 탐구하고 표출하는 그의 근작들에서 영속과 순환의 심현을 향한 의경의 세계를 보게된다

-김찬동(전시기획,전 수원시립미술관장)




[약력]

 

김 덕 용 金德龍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교 회화과 및 동 대학원 동양학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4 생. 빛과 결 , 갤러리나우(서울)

2023 상서로운 꿈, 이화익갤러리 (서울)

오션 랩소디, 솔루나 파인아트 (홍콩, 중국)

2022 借景과 自景사이, 영은미술관 (경기광주)

Seed,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21 귀소-빛과 결, 나마 갤러리 (서울)

2020 오션 랩소디, 솔루나 파인아트 (홍콩, 중국)

봄-빛과 결,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8 결-사이間,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7 오래된 풍경, 이화익 갤러리 (서울)

2016 코리안 아트 나우, 수잔 일레이 파인아트 (뉴욕, 미국)

2015 결이 흐르는 공간,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3 김덕용전, 켄지 타키 갤러리 (나고야, 일본)

2012 작은 그림전, 갤러리 현대 두가헌 (서울)

2011 시간을 담다, 갤러리 현대 (서울)

2009 박경리와 김덕용 특별전, 갤러리 현대 (서울)

켄지 다키 갤러리 (도쿄, 일본)

2008 김덕용전, I-MYU 갤러리 (런던, 영국)

2006 집-들러보다, 이화익 갤러리 (서울)

2004 우리들의 공간, 학고재 아트센터 (서울)

2003 헤로프 갤러리 (크롬베르그, 독일)

2002 김덕용전, 이화익 갤러리 (서울)

2001~1992 공화랑 (서울) 외 3회


주요 단체전 

2022 백자전,서울공예박물관 (서울)

회귀-LeRetour, M9 갤러리 (서울)

달맞이전, mM 아트갤러리 (부산)

아트센트럴, 솔루나 파인아트 (홍콩, 중국)

시대의 눈; 해석된 달항아리전, 갤러리나우 (서울)

동음과 이음전,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물아일체전, 우란문화재단 (서울)

2022 아트파리, M9 갤러리 (파리, 프랑스)

음풍영월전, 홍콩 한국문화원 (홍콩, 중국)

2021 달항아리전, 솔루나 파인아트 (홍콩, 중국)

개관20주년 기념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한국작가 초대전, 솔루나 파인아트 (상하이, 중국)

흐르는 시간전, 신세계 갤러리 (광주)

2020 오래된 빛, 아트프로젝트 씨오 (서울)

비상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아미의 작가전, 아미미술관 (당진)

2019 성남의 얼굴전: 집, 성남큐브미술관 (성남)

정물화의 유혹, 무안군립미술관 (무안)

아부다비 아트페어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18 차경,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자전적 탐: 美, 마리갤러리 (서울)

마이스토리 2인전, 조은갤러리 (서울)

2017 안평대군의 비밀정원전, 자하미술관 (서울)

여인과 자연전, 국립극장 전시실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사유, 그 너머전, 올미아트스페이스 (서울)

바다 海, 갤러리 조은 (서울)

2016 기억 속에 피어난 백화白花–개관기념전, 갤러리 조은 (서울)

2015 우리 옛 가구와 현대미술전, 이화익 갤러리 (서울)

천변만화千變萬化–그림 속 도자기를 만나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미인美人; 아름다운 사람, 서울미술관 (서울)

2014 나는 그들의 것이 아름답다, D 갤러리 (광주)

개관9주년기념전,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3 인물 파노라마,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2012 진경眞景, 인터알리아 아트컴퍼니 (서울)

2011 이화익 갤러리 10주년 기념전, 이화익 갤러리 (서울)

2010 ‘정신으로서의 선-그 힘, 이응노 미술관 (대전)

한국 현대미술의 중심작가, 갤러리 현대 (서울)

2009 크리스티 아시아 컨템포러리 아트(홍콩)

전통과 현대 회화, 경운미술관 (서울)

사물의 대화법, 갤러리 현대 (서울)

화가와 달항아리, 갤러리 현대 (서울)

작은 것이 아름답다,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8 컨템포러리 작가 초대전, 아트시즌 갤러리 (싱가폴/베이징)

AG 갤러리 개관 기념전, AG 갤러리 (서울)

2007 아시안 위크, 27 갤러리 (런던)

한국 미술의 중심, 한국 미술센터 (서울)

성남의 얼굴, 성남아트센터 (성남)

오늘의 작가 4인전, 선화랑 (서울)

2006 그림, ‘문학을 그리다’, 북촌미술관 (서울)

2005 제비울 미술관 초대전, 제비울 미술관 (과천)

대한민국 부채 그림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4 20회 크리스티 아시아 컨템포러리 아트 (홍콩)

동아미술제 작가전, 갤러리 상 (서울)

따뜻한 나무, 조화랑 (서울)

2003 우리 시대의 삶과 해학, 세종문화회관 (서울)

동양화 파라디소, 포스코 미술관 (서울)

프린스 프린세스, 갤러리 현 (서울)

박수근을 기리는 작가들, 박수근 미술관 (양구) 2002

세이신 미술회전, 아이치현 갤러 (나고야, 일본)

제2회 한일 교류전, 공화랑 (서울)

서울 국제 교류전, 세종문화회관 (서울)

살롱 오늘의 거장과 신진전, Espace Auteuil (파리, 프랑스)

동아 미술동우회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1 개관기념 초대전, 제비리 미술관 (강릉)

제1회 한일 교류전, 공화랑 (서울)

24주년 기념 초대전, 선화랑 (서울)

2000 수묵화 새천년, 시립미술관 (서울)

서울대학교와 새천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동아미술제 수상 작가 초대전, 일민미술관 (서울)

1999~1992 새로운정신과 형상전외 50여회


주요 아트페어 

아트센트럴(2021~2023, 홍콩), 아트파리(2022, 파리, 프랑스), 멜버른아트페어(2006, 멜버른, 호주), 로테르담아트페어(2007, 로테르담, 네덜란드), 아르코아트페어(2009~2010, 마드리드, 스페인), 두바이아트페어 (2009,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아트런던(2013~2014, 런던, 영국), LA아트쇼(2014, 로스엔젤레스, 미국), 아트마이애미(2018, 마이애미, 미국) 아부다비아트페어(2012~2021,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한국국제아트페어 (2003~2021, 서울)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과천) / 서울시립미술관(서울) / 경기도미술관(안산) / 전남도립미술관(광양) / 박수근미술관(양구) / 박경리토지문화관(원주) / 우란문화재단(서울) / 외교통상부(서울) / 스위스 한국대사관(베른, 스위스) /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서울) / 신세계(주) / 대양상선 (서울) / 제주 휘닉스아 일랜드(서귀포) / 아부다비관광문화청 ADTCA(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에미레이트 전략연구조사센터 ECSSR(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국립해양박물관(포항) / 포스코(서울)



Kim, Duck-Yong







B.F.A. Dept. of Pain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Seoul)

M.F.A. Dept. of Oriental Painting,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4 Live –The Light and Grain, Gallery Now (Seoul)

2023 Yearing - permeate through the grain, POSCO artmuseum(Seoul)

An Auspicious Dream, Leehwaik Gallery (Seoul)

SOLUNA Fine Art Gallery (Hong Kong)

2022 Between borrowed and original landscape,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ngju, Gyeonggido)

Seed – Mother of Pearl, Soul Art Space (Busan)

2021 Homing - The Light and Grain, NAMA Gallery (Seoul)

2020 Ocean Rhapsody, SOLUNA Fine Art Gallery (Hong Kong)

Spring - The Light and Grain, Soul Art Space (Busan)

2018 Grain - Between, Soul Art Space (Busan)

2017 An Old Scenery, Leehwaik Gallery (Seoul)

2016 Korean Art Now II, Susan Eley Fine Art (New York)

2015 A Space of Flowing Grain, Soul Art Space (Busan)

2013 Kim Duck-Yong, Kenji Taki Gallary (Nagoya, Japan)

2012 Gallery Hyundai, Dugahun (Seoul)

2011 Embodying Time, Gallery Hyundai (Seoul)

2009 Pak Kyongni and Kim Duckyong Special Exhibition,

Gallery Hyundai (Seoul)

Kim Duck-Yong, Kenji Taki Gallery (Tokyo, Japan)

2008 Kim Duck-Yong, I-Myu Project (London)

2006 Looking Around My Home, Leehwaik Gallery (Seoul)

2004 Our Space, Hak Go Jae Art Center (Seoul)

2003 Galerie Hellhof (Kronberg, Germany)

2002 Kim Duck-Yong, Leehwaik Gallery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4 Omniscient Emotion Point of view (Daegu Art Factory)

2023 Adifferent view (soon seong Art Museum Dangjin)

Twinkling [(National Folk Museum Paju)

Wood Special exhibition (Gimhae Cultural Museum)

K-ART special exhibition (Sisley Headguaryer Gallery Paris)

2022 white porcelain, seoul craftmuceum (Seoul)

Le Retour, Gallery M9 (Seoul)

Dalmaji, mM Artgallery (Busan)

Art Central, Soluna Fine Art Gallery (Hong Kong)

The Eye of the Age: An Interpreted Moon Jar Gallery Now (Seoul)

同音,異音, Gallery Dongduk (Seoul)

Books&Things: Unity of Ego and Outside World,

Wooran Foundation (Seoul)

Art Paris Project, Gallery M9 (Seoul)

Ode to tne Moon, Korean Cultural Center in Hong kong (Hong Kong)

2021 Full Moon, SOLUNA Fine Art Gallery (Hong Kong)

20th Anniversary, LEE HWAIK Gallery (Seoul)

Sensual Space, SOLUNA Fine Art Gallery (Shanghai)

2020 Ami’s Artists, Ami Art Museum (Dangjin)

Soaring, Leehwaik Gallery (Seoul)

2019 Sungnam’s Face: Home, Sungnam Cube Museum of Art (Sungnam)

The Allurements of Still-Life, Muan Seungwoo Oh Museum of Art (Muan)

2018 Borrowed Landscape,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Icheon)

Autobiographical Love: Beautiful, Gallery Marie (Seoul)

My Story, Gallery Joeun (Seoul)

2017 The Secret Garden of Prince Anpyoeng, Zaha Museum (Seoul)

Korea-UAE Art Exhibition: Woman and Nature, National Theatre

(Abu Dhabi, UAE)

ALLME Invitational Exhibition, ALLME ART SPACE (Seoul)

The Sea 海, Gallery Joeun (Seoul)

2016 White flowers blooming in memory-Springtime Coming,

Gallery Joeun (Seoul)

2015 Korean Antique Furniture and Contemporary Art,

Leehwaik Gallery (Seoul)

Innumerable Changes: Ceramics In A Picture,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Icheon)

Beauty: Beautiful People, Seoul Museum (Seoul)

2014 D Gallery 5th Anniversary Exhibition, D Gallery (Gwangju)

Soul Art Space 9th Anniversary Exhibition, Soul Art Space (Busan)

2013 Figure Panorama, Jeonbuk Museum of Art (Wanju)

2012 A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Interalia Art Company (Seoul)

2011 Leehwaik Gallery 10th Anniversary Exhibition, Leehwaik Gallery (Seoul)

2010 Soul of Line, Lee Ungno Museum (Daejeon)

In the Midst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Gallery Hyundai (Seoul)

2009 Christie`s Asian Contemporary Art (Hong kong)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ainting, Kyungwoon Museum of Art (Seoul)

The Still: Logical Conversation, Gallery Hyundai (Seoul)

Artists and Moon Jars, Gallery Hyundai Gangnam Space (Seoul)

Small is Beautiful, Leehwaik Gallery (Seoul)

2008 Contemporary Artists Preview, Art Seasons Gallery (Singapore,

Singapore / Beijing)

AG Gallery Anniversary Exhibition, AG Gallery (Seoul)

2007 Asian Week, Gallery 27 (London)

The Central Exhibi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Korean Arts

Center (Seoul)

Faces of Sungnam, Sungnam Arts Center (Sungnam)

Today’s Four Artists, Sun Gallery (Seoul)

2006 Paint the literature, Bukchon Art Museum (Seoul)

2005 Invitational Exhibition of Jebiwool, Jebiwool Art Museum (Gwacheon)

Exhibition of Korea Poems Contained on the Fans, Seoul Museum of

Art (Seoul)

2004 20th Christie`s Asian Contemporary Art (Hong kong)

Awarded Artists of Dong-A fine art festival, Sang Gallery (Seoul)

Painting on Wood, Gallery Cho (Seoul)

2003 Life and Humor in Days, Sejong Center of Performing Arts (Seoul)

Oriental Painting Paradiso, Posco Art Museum (Seoul)

Prince and Princess, Gallery Hyundai (Seoul)

Anniversary Exhibition, Park Soo Keun Museum (Yanggu)

2002 Seishin Exhibition, Aichi Gallery (Nagoya, Japa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Sejong Center of Performing Arts (Seoul)

Grand et Jeunes d’Arjourd’hui, Espace Auteuil (Paris, France)

Fellow Artists awarded at Dong-A fine art festival Exhibitio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2001 Anniversary Invitational Exhibition, Jebiri Gallery (Gangneung)

The 1st Exchange Exhibition of Korea & Japan Art, Gong Gallery (Seoul)

Sun Gallery 24th Anniversary Exhibition, Sun Gallery (Seoul)

2000 Korean painting New Millennium Exhibition, Seoul Museum of Art (Seoul)

Dong-A Grand Art Invitational Exhibition, Ilmin Museum of Art (Seoul)


Selected Art Fairs

Art Central(2021~2022, Hong Kong, China), Art Paris(2022, Paris, France), Melbourne Art Fair(2006, Melbourne, Australia), Rotterdam Art Fair(2007, Rotterdam, Netherlands), ARCO Art Fair(2009~2010, Madrid, Spain), Art Dubai(2009, Dubai, Arab Emirates), London Art Fair(20013~2014, Lon\-don, UK), LA Art Show(2014, Los Angeles, USA), Art Miami(2018, Mi\-ami, USA), Abu Dhabi Art Fair(2012~2021, Abu Dhabi, Arab Emirates), KIAF(2003~2021, Seoul, Korea)



Selected Collection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Gwacheon, Korea) / Seoul Museum of Art(Seoul, Korea) / Park Soo Keun Museum(Yanggu, Korea) / Kyunggi Province Art Museum(Ansan, Korea) / Korea University(Seoul, Ko\-rea)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Seoul, Korea) / Korean Embassy in Switzerland(Bern, Switzerland) / Grand Intercontinental Hotel(Seoul, Ko\-rea) / Daeyang Shipping Co.,Ltd.(Seoul, Korea) / Jeju Phoenix Island(Jeju, Ko\-rea) / Abu Dhabi Tourism & Culture Authority ADTCA(Abu Dhabi, UAE) / Emirates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and Research ECSSR(Abu Dhabi, UAE) / Korea National Maritime Museum(Pohang, Korea) / Posco(Seoul, Korea) / Shinsegae(Seoul, Korea) / Hoban Artrium(Gwangmyeong, Korea) / Pak Kyo\-ngni Toji Cultural Center(Wonju, Korea) / Wooran Foundation(Seoul, Korea)



화양연화, 100x96cm, Mixed mea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심현-빛의조우, 90x80cm, Mixed mea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화양연화, 60x100cm, Mixed mea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화양연화, 65x50cm, Mixed mea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차경-관해음, Mixed me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차경-관해음, 100x140cm, Mixed me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차경-관해음, 100x140cm, Mixed media mother of pearl on wood, 2024



결-순환, 160x140cm, Mixed media(Mother of pearl) on wood, 2023




결-순환, 160x140cm, Mixed media(Mother of pearl) on wood, 2023



Ocean Rhapsody, 100x180, Mixed media(Mother of pearl) on wood, 2023

CEO : Lee Soon Shimㅣ Business License : 101-87-00172
Address : 16, Eonju-ro 152-gil, Gangnam-gu, Seoul, Korea , 06021

ㅣ CS : +82 (0)2-725-2930 ㅣ Fax : +82 (0)2-725-6999

Copyright ⓒ gallery NoW